란?

  • 일단 네트워크라는 것은 아주 방대한 영역이기 때문에 이걸 좀 세분화해서 연구를 할 필요가 있었댄다
  • 따라서 OSI (Open System Interconnection Model) 7계층 모델이라는 것을 도입하게 됐는데
  • 이게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
    • 일단 계층적으로 나뉘어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느 계층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하기가 쉬워진다
    • 또한 특정 계층에 대해서만 집중하여 연구 혹은 개발할 수 있다 - 다른 계층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 없이도 연구 혹은 개발할 수 있기 때문
  • 뭐 간단하게만 복기하고 넘어가면
    • L1: Physical Layer
      • 바이트 스트림의 전송에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인 에러들을 최소화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진 계층
    • L2: Data Link Layer
      • Hop-to-hop 통신에서의 reliability 를 보장하는 계층. 두가지 Sub-layer 가 존재한다.
        • LLC (Logical Link Control): 보통 에러 탐지 와 복구(ARQ 재전송 등을 통해서) 서비스인 DLC (Data Link Control) 을 제공해주는 서브레이어
        • MAC (Multi Access Control): LAN 환경에서 회선 하나에 한번에 하나의 패킷만 송수신되도록 하여 패킷간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해주는 서브레이어
    • L3: Network Layer
      • End-to-end 통신에서의 routing 을 담당하는 계층
    • L4: Transport Layer
      • Process-to-process 통신과 (TCP의 경우) Queue overflow 를 방지해 Reliability 를 제공해주는 계층
    • L5: Session Layer
      • 보안(암복호화) 를 제공해주는 계층
    • L6: Presentation Layer
      • 데이터의 표현방식 (뭐 ASCII 랄지 MIME 이랄지) 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계층
    • L7: Application Layer
      •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