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권태경 교수님의 "Topics in Computer Networks" 강의를 필기한 내용입니다.
다소 잘못된 내용과 구어적 표현 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.
Longest IP route match lookup
- IP route lookup: 매치되는 IP prefix 들 중에 가장 긴쪽으로 forward 함 (longest match routing)
- 위의 예시를 보면
- 10.1.1.1 를 routging 하려고 할 때 R3 (
10.0.0.0/8
) 와 R4 (10.1.0.0/16
) 모두에 걸리지만 R4 가 IP prefix 가 더 길기 때문에 (netmask 가 더 크기때문에) R4 로 보낸다 - 뭐 인터넷 사용 회선 가격 얘기도 나왔는데 이건 뭔지 잘 모르겠음
- 10.1.1.1 를 routging 하려고 할 때 R3 (
- 그럼 왜 이렇게 할까
- 아무것도 매치되지 않았을 때를 위한 default route 인 0.0.0.0/0 의 경우에 항상 shortest match 가 되기에 이것을 가장 낮은 우선순위로 두기 위해서 longest match 를 하는 것
AS (Autonomous System)
#symlink 내용 옮겨짐
- Autonomous System, AS (BGP)
- ]]
- (Network)]]
- AS 에 Border Gateway 가 여러개 있는 경우를 Multi-homing 이라고 한다
- 인접한 AS 들은 자신의 IP Addr block 을 공유 (Announce) 한다
- 그리고 이러한 Announce 를 받은 AS 는 이것을 Accept 해야 한다
- 이렇게 공유된 내용에 따라 packet 이 해당 AS 로 route 된다
- Egress traffic: AS 를 나가는 패킷
- Ingress traffic: AS 로 들어오는 패킷
- 두정도로 나눠볼 수 있다
- 해당 AS 안의 host 로 가기 위한 패킷
- 해당 AS 를 거쳐가기 위한 패킷
- 두정도로 나눠볼 수 있다
- 이렇게 AS 안을 휘젓고 다닐때를 IGP, AS 간 통신을 위한 것은 EGP?
- (iBGP 랑 eBGP 랑의 차이랑 다른거 같던데)
- 아래 예시 생각해 보자
- (!!) 가령 SNU 에서 SKBroadband 에 있는 어떤 놈한테 패킷을 보낼 때
- SNU 는 인접한 KT 를 통해서 SKB 에 보낼 수도 있고
- 또 인접한 YS 를 통해서 보낼 수도 있지만
- YS 는 SKB 에 연결은 되어 있지만 해당 패킷을 보내지 않을 수도 있다
- 왜냐면 YS 는 ISP 가 아니고 SNU 가 YS 에 돈을 준게 없기 때문에 YS 가 라우팅을 해줘야 할 의무는 없기 때문
- ISP 들은 할당받은 IP 들을 다음과 같이 관리한다
- 자신의 서버나 네트워크를 위해 IP 몇개 냄겨 놓고
- 자신들의 고객에게 제공해 줄 IP block 도 정하고
- 고객이 많아 질 때도 대비해야 된다
BGP (Border Gateway Protocol)
- 전세계의 거의 모든 AS/ISP 들이 참여하는 거대 프로토콜
용어들
- Neighbor: BGP peer
- NLRI/Prefix: AS 에 할당된 IP Prefix 를 말하는 용어인듯
- Router ID: 라우터에 설정된 여러 IP 들 중 가장 높은? highest IP 를 일컫는다고 한다
Basic
- AS 각각에는 NLRI 가 설정되고
- 이 NLRI 는 Neighbor 간에 공유되고
- 공유된 정보에 따라 Route table 에 경로가 설정되며
- 이것은 policy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